서울 손주돌봄수당 지원 조건/신청 방법 총정리

서울 손주돌봄수당은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서울 손주돌봄수당(서울형 아이돌봄비)은 만 24개월부터 36개월 사이의 아이를 키우는 가정에서 조부모나 4촌 이내 친인척이 아이를 돌보는 경우, 또는 지정된 민간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신청 가정은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해요.

  1. 부모와 아동 모두 주민등록상 서울시 거주
  2. 중위소득 150% 이하 (맞벌이는 25% 소득감면 적용)
  3. 맞벌이, 한부모, 다자녀 등 양육 공백 가정

예를 들어, 2025년 기준 4인 가구의 월 소득이 9,147,000원 이하인 경우 해당되며, 아이와 부모의 주소가 서울로 동일해야 합니다.


친인척 돌봄과 민간 서비스 중 선택이 가능한가요?

네, 이 제도는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신청해야 합니다. 동시 선택은 불가능합니다.

  1. 친인척 조력자 돌봄비: 조부모 또는 4촌 이내 친척 1인이 손주를 직접 돌보는 경우
  2. 민간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권 지원: 서울시 지정 민간기관을 이용하는 경우
    • 예: 맘시터, 자란다, 우리동네돌봄히어로 등

단, 두 가지 모두 신청하거나 병행해서 이용할 수는 없고, 해당 월에 정부지원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야 지원이 가능합니다.


신청 시 꼭 확인해야 할 조건은 무엇인가요?

신청은 아동이 23개월부터 가능하며, 매월 1~15일 사이에 접수해야 합니다. 아래 항목을 반드시 준비해야 해요.

  • 사회보장급여 결정 결과서 (복지로 또는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에서 발급)
  • 가족관계증명서 (친인척 돌봄의 경우)
  • 수급자 명의 통장사본
  • 주민등록등본

친인척 돌봄을 신청하려면, 돌보는 사람이 ‘조력자 만능키’ 사이트에서 회원 가입을 하고 **사전교육 영상(8분)**을 이수해야 합니다.
민간 서비스 이용자는 해당 기관 사이트에 가입 후 서비스 이용을 시작하면 돼요.


손주를 몇 시간 돌보면 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돌봄 시간은 매월 최소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 친인척 돌봄: 월 40시간 이상 활동해야 수당 지급
  • 민간 서비스: 월 20~40시간 이상 이용해야 수당 지급

돌봄시간 산정 시 유의사항:

  • 하루 최대 인정시간: 4시간
  • 심야 시간(22시~06시): 인정 제외
  • 어린이집 다니는 아동은 09~16시 제외 후 계산

예를 들어, 아이가 어린이집에 다니는 경우 오후 17시부터 21시까지 조부모가 돌보면 하루 4시간이 인정돼요.
QR 체크인/체크아웃은 꼭 해야 인정되니, 주말이나 공휴일 돌봄 시에도 QR 인증이 필수입니다.


지원 금액은 얼마이고 언제 지급되나요?

지원 금액은 돌봄 방식과 시간, 아이 수에 따라 달라지며, 익월 20일경 지급됩니다.

✅ 친인척 돌봄 수당

  • 영아 1명: 월 30만원
  • 영아 2명: 월 45만원
  • 영아 3명: 월 60만원
    → 단, 40시간 이상 돌봄 필요 + 정부지원 아이돌봄서비스 미이용 조건 충족해야 함

✅ 민간 서비스 수당

  • 영아 1명 기준: 시간당 7,500원, 월 15~30만원
  • 영아 2명 기준: 시간당 11,250원, 월 22.5~45만원
  • 영아 3명 기준: 시간당 15,000원, 월 30~60만원
    20시간 이상 이용 시부터 지원, 미달 시 이월 불가

✍️ 마무리

서울 손주돌봄수당은 조건만 맞으면 최대 월 6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실질적인 복지 제도입니다.
하지만 신청 조건과 돌봄시간 인정 기준이 꽤 상세하기 때문에, 사전에 체크리스트와 신청 절차를 꼼꼼히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해요.

정확한 내용은 서울시복지포털과 자치구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