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종합 가이드

1. 차량 별 범칙금 및 벌점 안내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는 9인승 이상 승용·승합차6명 이상 탑승 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불가능: 9인 이상 승용차 및 승합차

  • 범칙금: 5만 원
  • 벌점: 10점

✅ 가능: 9인 이상 승합차, RV, SUV

  • 탑승 인원 6명 미만 시 위반
    • 범칙금: 5만 원
    • 벌점: 10점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려면 9인승 이상 차량에 6명 이상이 탑승해야 합니다. 하지만 임산부의 태아는 법적으로 탑승 인원에 포함되지 않아, 태아를 포함해 6명이 되어도 이용할 수 없습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승용차는 6만 원, 승합차는 7만 원의 범칙금과 벌점 30점이 부과됩니다.

2. 실시간 고속도로 상황 알아보는 방법

고속도로를 이용할 때 운영정보, 실시간 교통 상황, 톨게이트 요금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와 어플이 있습니다.

📌 고속도로 실시간 정보 조회하기
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 (www.ex.co.kr)
고속도로 교통정보 앱 (하이패스, 실시간 정체 구간 안내)
네이버 지도, 카카오맵 (고속도로 전용 내비게이션 기능 지원)

3. 🚍 고속도로 버스전용차선 구간 및 이용시간 정리

1. 경부고속도로 (1호선)

  • 구간: 서울(한남IC) ↔ 신탄진IC
  • 운영시간
    • 평일: 07:00~21:00 (신탄진IC → 서울 방향)
    • 주말/공휴일: 07:00~ 다음날 01:00

2. 중부고속도로 (35호선)

  • 구간: 하남IC ↔ 남이JC
  • 운영시간
    • 주말/공휴일: 07:00~21:00

3. 영동고속도로 (50호선)

  • 구간: 신갈JC ↔ 여주JC
  • 운영시간
    • 주말/공휴일: 07:00~21:00

4. 서해안고속도로 (15호선)

  • 구간: 금천IC ↔ 서평택IC
  • 운영시간
    • 주말/공휴일: 07:00~21:00

5. 남해고속도로 (10호선)

  • 구간: 해당 없음 (버스전용차선 미운영)

6. 경인고속도로 (120호선)

  • 구간: 인천IC ↔ 서울시계
  • 운영시간
    • 평일: 07:00~09:00, 17:00~21:00

1. 경인고속도로 (120호선)

  • 구간: 인천IC ↔ 서울시계
  • 운영시간:
    • 평일: 07:0009:00, 17:0021:00
  • 비고: 수도권 출퇴근 교통 혼잡 완화를 위한 버스전용차선 운영

2.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451호선)

  • 🚫 버스전용차선 미운영

3. 호남고속도로지선 (251호선)

🚫 버스전용차선 미운영

1.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100호선)

  • 🚫 버스전용차선 미운영

2.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600호선)

  • 🚫 버스전용차선 미운영

3.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700호선)

  • 🚫 버스전용차선 미운영

3. 고속도로 범칙금 확인 하는 방법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차로가 아닌 만큼, 허용 차량과 예외 조건을 모르면 의도치 않은 위반으로 벌금을 낼 수도 있습니다. 혹시 실수로 전용차로로 들어갔는데 단속이 됐는지 걱정 되신다면 아래 단속 조회하기 버튼으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경찰청에서 운영하는 교통민원24(eFINE)는 운전자들이 교통 관련 민원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온라인 서비스입니다. 주요 제공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교통법규 위반 조회 및 납부: 과태료와 범칙금을 확인하고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운전면허 정보 조회: 벌점, 정지 기간, 국제운전면허증 발급 여부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착한운전 마일리지 신청: 사고 없이 운전할 때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
  • 교통사고 조사 예약: 교통사고 조사를 온라인으로 예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운전자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교통 관련 민원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교통민원24는 모바일 앱으로도 제공되어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앱은 Google Play 스토어App Store에서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 시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을 통한 로그인이 필요하며, 법인 차량의 경우 법인용 인증서를 사용하여 로그인하셔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교통민원24 공식 웹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대한민국 고속도로 종류

고속도로는 크게 간선고속도로, 지선고속도로, 순환고속도로로 구분되며, 각 노선은 고유 번호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 1. 간선고속도로 (주요 간선망, X00번대 노선)

대한민국의 주요 대도시와 지역 거점을 연결하는 중심 고속도로입니다.
가장 많은 차량이 이용하는 도로로, 번호 끝자리가 ‘0’으로 끝납니다.

경부고속도로 (1호선) – 서울 ↔ 부산, 국내 최장 및 최다 교통량
중부고속도로 (35호선) – 하남 ↔ 대소, 경부고속도로 보완 역할
영동고속도로 (50호선) – 인천 ↔ 강릉, 수도권과 강원권 연결
서해안고속도로 (15호선) – 서울 ↔ 목포, 서해안 지역 주요 간선도로
남해고속도로 (10호선) – 부산 ↔ 순천, 남부권 산업·물류 중심 도로


✅ 2. 지선고속도로 (보조 노선, X##번대 노선)

간선고속도로에서 갈라지는 지선 도로로, 주요 도시와 산업단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번호 체계는 기존 간선고속도로 번호에 두 자리를 추가한 형태입니다.

경인고속도로 (120호선) – 서울 ↔ 인천, 수도권 주요 출퇴근 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451호선) – 여주 ↔ 감곡, 중부내륙고속도로 연결
호남고속도로지선 (251호선) – 논산 ↔ 대전, 호남고속도로와 경부선 연결


✅ 3. 순환고속도로 (도심 외곽 순환, X90번대 노선)

대도시 교통 분산을 위해 만들어진 도로로, 끝자리가 ‘90’으로 끝납니다.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의 교통 혼잡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100호선) – 수도권을 둘러싸는 고속도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600호선) – 부산권 교통량 분산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700호선) – 대구권 교통망 개선